본문 바로가기
주식 그리고 Money

스톡옵션이란? 주식을 싸게 살 수 있는 기회! 행사 방법까지 한 번에 정리

by ootd_info 2025. 4. 23.
반응형

“회사에서 스톡옵션 준다는데, 이게 무슨 뜻이지?” “행사하면 돈 버는 거야? 세금은 어떻게 되지?”

스타트업이나 IT기업, 상장사에서 자주 등장하는 **스톡옵션(Stock Option)**, 단어는 많이 들어봤지만 정확한 구조와 행사 방법까지 알고 있는 사람은 드물죠.

오늘은 스톡옵션의 기본 개념부터 실제 행사 흐름, 주의할 점까지 직장인도, 투자자도 알아두면 좋은 내용으로 정리해드릴게요 😊


1. 스톡옵션이란? 🧾

스톡옵션(Stock Option)은 회사가 임직원에게 **미래의 특정 시점에 자사 주식을 정해진 가격으로 살 수 있는 권리**를 주는 제도입니다.

쉽게 말하면:

  • 지금은 못 사지만, 나중에 정해진 가격으로 주식을 ‘살 수 있는’ 기회
  • 주가가 오르면, 싸게 사서 비싸게 팔 수 있음 → 차익 실현!

회사 입장에선 직원의 동기부여 수단, 직원 입장에선 미래의 보너스 같은 개념이죠.


2. 예시로 이해하기 📊

예를 들어 회사가 다음과 같은 스톡옵션을 부여했다고 가정해볼게요:

  • 부여 수량: 1,000주
  • 행사 가격: 10,000원
  • 부여일: 2022년 1월 1일
  • 행사 가능일: 2025년 1월 1일 이후

그리고 2025년이 됐을 때 실제 주가가 40,000원이면?

계산:

  • 40,000원 - 10,000원 = 30,000원 차익 × 1,000주 = **3천만 원 수익!**

이게 바로 스톡옵션의 매력입니다 😎


3. 스톡옵션 행사란? 어떻게 실행할까? 🏃

스톡옵션 행사는 “정해진 가격으로 실제로 주식을 사는 행위”입니다.

행사 절차:

  1. **행사 가능일 도래** (보통 부여 후 2~3년)
  2. 회사에 ‘행사 의사’ 통보
  3. 행사 대금 납부 (예: 10,000원 × 수량)
  4. 주식 수령 (전자등록 or 계좌 등록)
  5. 필요 시 매도 → 차익 실현

상장사라면 매도도 자유롭지만, 비상장사는 유동성 문제가 있을 수 있어요!


4. 스톡옵션 행사 시 유의할 점 ⚠️

① 세금

  • 행사 시: 근로소득세 과세 (소득으로 간주)
  • 매도 시: 양도소득세 과세
  • 비상장사는 행사 시점에 세금 납부 어려움 주의!

② 행사 후 ‘보유 기간’ 제한

  • 일부 회사는 행사 후 6개월~1년 보유 제한

③ 회사 규정 확인

  • 퇴사 시 행사 불가 조항 여부
  • 지분 희석 여부

행사는 언제든 가능하지만, 최적의 ‘타이밍’이 중요합니다.


5. 상장사 vs 비상장사 차이 🧭

구분상장사비상장사
매도 가능성높음 (시장 거래)낮음 (유동성 부족)
세금 부담행사·매도 시 나눠짐행사 시 세금 크고 현금 부족 우려
가치 변동성주가에 따라 수익 실현상장 여부 따라 큰 폭 변화

정리하자면… ✍️

  • 스톡옵션 = 싸게 살 권리, 주가가 오르면 수익
  • 행사는 ‘실제로 사는 것’, 이후 매도 가능
  • 세금, 유동성, 퇴사 조항 등 주의사항 꼭 체크
  • 비상장사는 행사 타이밍 특히 신중히!

요즘은 일반 직장인도 스톡옵션을 받는 시대! 내가 가진 옵션이 ‘가치 있는 권리’인지, 어떻게 행사해야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을지 꼭 알아두세요 😊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