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삼성전자우…? 왜 뒤에 ‘우’자가 붙었지?”
주식 거래하다 보면 가끔 본 주식과 비슷한데 가격은 더 싸고 이름 끝에 ‘우’가 붙은 종목을 보신 적 있죠?
그건 바로 의결권이 없는 주식‘우선주’입니다.
그렇다면, 의결권도 없는 주식을 **굳이 왜 사는 걸까요?** 그리고 기업은 왜 이런 주식을 발행할까요?
1. 의결권 없는 주식 = ‘우선주’란? 🧾

의결권 없는 주식은 말 그대로 주주총회에서 투표할 수 있는 권리(의결권)가 없는 주식이에요.
하지만 그냥 손해 보는 주식은 아닙니다. 대신 배당을 더 받거나, 먼저 받을 권리가 주어지죠. 이런 구조 때문에 '우선주(Preferred stock)'라고도 불려요.
즉, 요약하면:
- ❌ 주주총회 의결권 없음
- ✅ 배당을 보통주보다 우선적으로 받음
- ✅ 가격이 더 저렴한 경우 많음
2. 대표적인 ‘우선주’ 종목은? 📊
한국 시장에선 ‘우’가 붙은 종목이 바로 우선주입니다.
- 삼성전자우 → 삼성전자의 우선주
- LG화학우 → LG화학 우선주
- 현대차2우B → 배당률 우선 + 의결권 없음
이처럼 많은 대형 기업들이 보통주 외에 우선주를 별도로 상장해서 투자자에게 선택지를 제공합니다.
3. 기업은 왜 의결권 없는 주식을 발행할까? 🏢
① 경영권 방어
- 자본은 조달하면서도 지분율 희석 없이 의결권 유지
- 대기업들이 선호하는 방식
② 배당 매력 어필
- 배당을 중시하는 투자자 유치
- 주주친화정책 일환
③ 시장 유동성 확보
- 우선주는 가격이 낮아 소액투자자 접근성 ↑
4. 투자자는 왜 의결권 없는 주식을 살까? 🤔
① 배당수익률이 더 높다
많은 우선주는 **보통주보다 1% 이상 높은 배당률**을 제공합니다.
② 가격이 저렴하다
같은 회사 주식인데도 **우선주가 10~30% 정도 더 저렴**한 경우가 많아요.
③ 의결권보다 안정적 수익 추구
장기보유 + 배당수익이 목적이라면, 의결권보단 수익률과 가격 메리트가 더 중요하죠!
5. 하지만 이런 점은 주의! ⚠️
- 의결권 없어서 경영 참여 불가
- 거래량이 적은 우선주는 유동성 리스크 존재
- 배당이 줄면 우선주 메리트도 줄 수 있음
- 일부 우선주는 상장폐지 가능성도 있음 (비인기종목)
즉, 우선주 투자 = 보수적 배당투자자에게 유리하지만, 단기 트레이딩에는 불리할 수도 있어요.
정리하자면… ✍️
- 의결권 없는 주식 = 보통 '우선주'
- 배당이 보통주보다 많고, 가격도 저렴한 경우가 많음
- 의결권 없어도 배당 중심 투자자에겐 오히려 매력
- 유동성, 배당 정책 변화 등은 항상 체크!
‘투표권’보다는 ‘배당’이 중요하다면? 우선주도 꽤 괜찮은 선택지일 수 있습니다 😊
728x90
'주식 그리고 Mone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은 결국 수급! 주도주는 어떻게 만들어질까? (0) | 2025.04.23 |
---|---|
레버리지·인버스 ETF, 수익 구조는 어떻게 될까? 투자 전 꼭 알아야 할 원리 정리! (0) | 2025.04.23 |
개인도 비상장주식 투자할 수 있을까? 요즘 뜨는 시장, 꼭 알아야 할 기본 가이드 (0) | 2025.04.23 |
401(k)와 은퇴 부자, 미국 주식시장을 떠받치는 진짜 큰손은 누구일까? (0) | 2025.04.23 |
국민연금, 주식시장의 보이지 않는 손? 한국 증시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0) | 2025.04.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