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당 받으려면 언제 주식을 사야 하지?” “시가배당률이 높으면 좋은 거야?” 배당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면 누구나 이런 궁금증이 생깁니다.
오늘은 배당투자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개념들을 한 번에 정리해볼게요. 배당락일, 기준일, 지급일, 시가배당률, 매수가배당률, T+2 결제 시스템까지 이 글 하나로 핵심을 잡아보세요!
---
📌 1. 배당기준일 (Record Date)
회사가 ‘누구에게 배당을 줄지 기준을 정하는 날’입니다. 이 날 주식을 보유한 사람에게 배당금이 지급됩니다.
---
📌 2. 배당락일 (Ex-Dividend Date)
배당을 받을 수 있는 마지막 날의 다음 날입니다. 즉, 배당을 받으려면 ‘배당락일 전날까지’ 주식을 매수해야 합니다.
💡 예시 배당기준일: 3월 30일 → 배당락일: 3월 29일 → 3월 28일까지 매수해야 배당 가능
⚠️ 잠깐! 'T+2일 결제 제도'를 아시나요?
우리가 주식을 매수하면, 그 주식은 ‘바로’ 내 계좌에 들어오는 게 아닙니다. T+2 결제 시스템이 적용되기 때문에, 매수 후 2영업일 뒤에야 실제 소유자로 인정받아요.
그래서 배당기준일 2일 전까지 주식을 사야 내 계좌에 ‘보유’로 인정되며, 그에 따라 배당도 받을 수 있는 것입니다.
---
📌 3. 배당지급일 (Payment Date)
배당금이 실제로 계좌에 입금되는 날입니다. 기업마다 상이하지만 보통 배당기준일로부터 1~2개월 후인 경우가 많아요.
---
📉 4. 배당락 효과
배당락일에는 보통 주가가 배당금만큼 하락합니다. 이 현상을 배당락 효과라고 합니다.
예: 전일 종가 50,000원 / 배당금 500원 → 배당락일 시가 약 49,500원 시작 가능성 있음
---
📊 5. 시가배당률 (Dividend Yield)
현재 주가 대비 배당금의 비율입니다.
공식: 연간 배당금 ÷ 현재 주가 × 100
예: 연간 배당 2,000원, 현재 주가 50,000원 → 시가배당률 = 4%
---
🧮 6. 매수가배당률 (Yield on Cost)
내가 매수한 가격 기준의 배당률입니다. 장기 투자자가 수익률을 평가할 때 중요한 지표로 사용됩니다.
공식: 연간 배당금 ÷ 매수가 × 100
예: 연간 배당 2,000원, 내가 산 가격 40,000원 → 매수가배당률 = 5%
---
📝 마무리 정리
- ✔️ 배당 받으려면 배당락일 전에 사고
- ✔️ T+2일 제도 때문에 타이밍이 중요
- ✔️ 배당률은 현재 주가 기준 vs 내 매수가 기준 둘 다 체크
배당은 단순히 ‘받는 것’이 아니라, 알고 준비한 사람만 받을 수 있는 구조입니다.
이제 배당 관련 핵심 개념, 다 이해되셨죠? “배당은 기다림의 보상이다.” 이번 배당 시즌, 현명하게 준비해보세요!
'주식 그리고 Money'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채권, 예금보다 조금 똑똑한 투자? 핵심 개념 한눈에 정리! (0) | 2025.04.20 |
---|---|
🏢 리츠 vs 리츠 ETF, 뭐가 더 나을까? (0) | 2025.04.20 |
📅 5월 배당락일 미국 주식, 지금 체크하세요! (0) | 2025.04.20 |
💵 리얼리티 인컴(Realty Income), 월배당의 정석을 찾아서 (0) | 2025.04.20 |
🚕 테슬라 주가 하락, 지금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0) | 2025.04.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