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10

레버리지·인버스 ETF, 수익 구조는 어떻게 될까? 투자 전 꼭 알아야 할 원리 정리! “KOSPI가 1% 올랐는데, 내 ETF는 2% 뛰었네?” “주식은 하락했는데 ETF는 올라있어?!”이런 경험, 해보셨다면 이미 레버리지 ETF 또는 인버스 ETF를 사용해 보신 거예요.그렇다면 이 ETF들은 어떻게 지수보다 더 크게 오르거나, 반대로 움직이는 걸까요? 오늘은 이 ETF들의 원리를 알기 쉽게 정리해볼게요!1. 레버리지 ETF란? 📈레버리지(Leverage) ETF는 지수의 상승폭을 2배, 혹은 3배 따라가는 상품이에요.예시: KOSPI가 1% 오르면 → KODEX 레버리지는 약 2% 상승 미국 S&P500이 2% 상승 → SPXL은 약 6% 상승 이렇게 더 큰 수익을 노릴 수 있는 이유는 ETF가 선물·스왑 같은 파생상품에 투자해서 지수의 움직임을 ‘배수 효과’로 재현하기 때문이에요.. 2025. 4. 23.
의결권 없는 주식? 왜 존재하고, 왜 투자할까? (우선주의 진짜 정체) “삼성전자우…? 왜 뒤에 ‘우’자가 붙었지?”주식 거래하다 보면 가끔 본 주식과 비슷한데 가격은 더 싸고 이름 끝에 ‘우’가 붙은 종목을 보신 적 있죠?그건 바로 의결권이 없는 주식‘우선주’입니다.그렇다면, 의결권도 없는 주식을 **굳이 왜 사는 걸까요?** 그리고 기업은 왜 이런 주식을 발행할까요?1. 의결권 없는 주식 = ‘우선주’란? 🧾의결권 없는 주식은 말 그대로 주주총회에서 투표할 수 있는 권리(의결권)가 없는 주식이에요.하지만 그냥 손해 보는 주식은 아닙니다. 대신 배당을 더 받거나, 먼저 받을 권리가 주어지죠. 이런 구조 때문에 '우선주(Preferred stock)'라고도 불려요.즉, 요약하면: ❌ 주주총회 의결권 없음 ✅ 배당을 보통주보다 우선적으로 받음 ✅ 가격이 더 저렴한 경우.. 2025. 4. 23.
개인도 비상장주식 투자할 수 있을까? 요즘 뜨는 시장, 꼭 알아야 할 기본 가이드 “이 회사, 곧 상장한다는데 미리 사둘 수는 없을까?”“쿠팡 상장 전 투자한 사람들 대박났다던데…”이런 생각, 한 번쯤 해보셨죠? 최근엔 개인들도 비상장 주식 투자에 점점 더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시대가 됐습니다.그렇다면 정말 일반 개인도 비상장 주식을 살 수 있을까요? 답은 YES! 다만 몇 가지 꼭 알아야 할 점들이 있어요.1. 비상장주식이란? 📉비상장주식은 **코스피, 코스닥 등 정규 주식시장에 상장되지 않은 회사의 주식**을 말해요.즉, 증권사 MTS에서 검색해도 안 나오는 주식들이죠. 스타트업, 중소기업, 그리고 상장 준비 중인 유망 기업들도 여기에 포함됩니다.2. 개인도 투자할 수 있나요? 🧑‍💼예전에는 주로 VC나 기관투자자 중심의 시장이었지만, 요즘은 **일반 개인도 비상장 주식을 충.. 2025. 4. 23.
401(k)와 은퇴 부자, 미국 주식시장을 떠받치는 진짜 큰손은 누구일까? “월급에서 매달 조금씩 떼어 넣었을 뿐인데… 나도 모르게 백만장자가 되어 있었다!”미국에는 은퇴할 무렵 401(k) 계좌에 **10억 원 넘게 쌓인 사람들**이 꽤 많습니다. 그들은 스스로를 '우연한 부자(accidental millionaire)'라고 부르기도 하죠.그 배경에는 미국의 대표적인 **퇴직연금 제도 401(k)**가 있고, 그 돈이 **미국 주식시장을 지탱하는 강력한 수급 주체**가 됩니다.1. 401(k)란? 🇺🇸401(k)는 미국의 대표적인 **확정기여형 퇴직연금제도**입니다. 고용주(회사)와 근로자가 함께 적립하고, 그 자금을 **본인이 스스로 주식이나 펀드 등에 투자**하면서 불리는 방식이죠.특징:근로자 본인 + 고용주가 일정 금액 납입세제 혜택 (세금 유예 or 면제)투자 대상.. 2025. 4.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