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KOSPI가 1% 올랐는데, 내 ETF는 2% 뛰었네?” “주식은 하락했는데 ETF는 올라있어?!”

이런 경험, 해보셨다면 이미 레버리지 ETF 또는 인버스 ETF를 사용해 보신 거예요.
그렇다면 이 ETF들은 어떻게 지수보다 더 크게 오르거나, 반대로 움직이는 걸까요? 오늘은 이 ETF들의 원리를 알기 쉽게 정리해볼게요!
1. 레버리지 ETF란? 📈
레버리지(Leverage) ETF는 지수의 상승폭을 2배, 혹은 3배 따라가는 상품이에요.
예시:
- KOSPI가 1% 오르면 → KODEX 레버리지는 약 2% 상승
- 미국 S&P500이 2% 상승 → SPXL은 약 6% 상승
이렇게 더 큰 수익을 노릴 수 있는 이유는 ETF가 선물·스왑 같은 파생상품에 투자해서 지수의 움직임을 ‘배수 효과’로 재현하기 때문이에요.
하지만 손실도 똑같이 두 배, 세 배로 커진다는 점, 꼭 기억해야 해요!
2. 인버스 ETF란? 📉
인버스(Inverse) ETF는 지수가 하락하면, ETF 가격이 오르는 구조입니다.
예시:
- KOSPI가 -1% 하락 → KODEX 인버스는 +1% 상승
- NASDAQ 100이 -2% 하락 → PSQ는 +2% 상승
말 그대로 지수의 **‘거꾸로 움직이는 거울’** 같은 상품이죠.
주가 하락이 예상될 때 인버스로 수익을 낼 수 있기 때문에, 하락장 헤지(방어용 투자)로도 많이 쓰여요.
3. 레버리지·인버스 ETF의 수익 구조는 어떻게 작동할까? ⚙️
이 ETF들은 일반 종목과 달리 **파생상품(선물, 스왑)**을 활용해서 수익을 만듭니다.
- 레버리지 ETF → 선물을 매수하거나 스왑 계약으로 2~3배 수익 노림
- 인버스 ETF → 선물을 공매도하거나 반대 방향의 계약 체결
이때 중요한 건, **하루 단위 수익률**을 목표로 설계됐다는 점이에요.
즉, 복리처럼 누적되진 않음!
- 월요일 지수 +2% → ETF +4%
- 화요일 지수 -2% → ETF -4% → 결과는 원상복구 ❌
이런 특성 때문에 **장기 보유보다는 단기/중기 트레이딩에 적합**합니다.
4. 어떤 ETF가 있을까? 📋
국내 인기 레버리지/인버스 ETF
- KODEX 레버리지 (KOSPI200 2배 추종)
- KODEX 인버스 (KOSPI200 반대 1배)
- KODEX 200선물인버스2X (KOSPI200 반대 2배)
- TIGER 나스닥100 레버리지/인버스 (해외 지수)
미국 대표 상품
- SPXL (S&P500 3배)
- SPXS (S&P500 인버스 3배)
- SOXL / SOXS (반도체 3배 상승 / 하락)
5. 투자 전 꼭 알아야 할 주의점 ⚠️
- 하루 수익률 기준 → 장기보유 시 원래 방향과 달라질 수 있음
- 복리 효과로 수익률 왜곡 가능
- 시장 변동성 커지면 손실도 급격
- 운용보수·괴리율 확인 필요
예측이 틀리면 **일반 ETF보다 더 큰 손실**이 나는 구조이므로 신중한 타이밍과 분할 매수 전략이 필요합니다.
정리하자면… ✍️
- 레버리지 ETF = 지수 상승의 2~3배 수익률 추종
- 인버스 ETF = 지수 하락 시 반대로 수익
- 선물·스왑 등 파생상품으로 수익 구조 설계
- 단기/트레이딩에 적합, 장기보유엔 유의!
“올라갈 것 같다” → 레버리지 “떨어질 것 같다” → 인버스 단, 방향 확신과 함께 리스크 관리가 중요합니다 😊
728x90
'주식 그리고 Mone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가총액, 주가, 발행주식 수… 헷갈리던 개념, 한 번에 정리! (0) | 2025.04.23 |
---|---|
주식은 결국 수급! 주도주는 어떻게 만들어질까? (0) | 2025.04.23 |
의결권 없는 주식? 왜 존재하고, 왜 투자할까? (우선주의 진짜 정체) (0) | 2025.04.23 |
개인도 비상장주식 투자할 수 있을까? 요즘 뜨는 시장, 꼭 알아야 할 기본 가이드 (0) | 2025.04.23 |
401(k)와 은퇴 부자, 미국 주식시장을 떠받치는 진짜 큰손은 누구일까? (0) | 2025.04.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