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그리고 Money

세법에서 말하는 ‘소득금액’이란? 헷갈리는 세금 개념 한 번에 정리!

by ootd_info 2025. 4. 24.
반응형

“연봉은 5천인데, 소득금액은 왜 다르게 나와요?” “과세표준이랑 뭐가 다른 거죠?”

연말정산이나 종합소득세 신고를 하다 보면 ‘소득금액’이라는 단어가 꼭 나옵니다.

하지만 총급여, 과세표준, 납부세액이랑 헷갈리는 개념이기도 하죠.

오늘은 세법 기준으로 ‘소득금액’의 정확한 의미와 계산 방식, 그리고 다른 용어들과의 차이점까지 깔끔하게 정리해드릴게요 😊


1. 소득금액이란? 💡

‘소득금액’이란, 총수입금액에서 필요경비(또는 인정 공제)를 뺀 순소득입니다.

즉, 실제로 세금이 매겨질 소득의 ‘기본 재료’라고 볼 수 있어요.

✔ 공식:

소득금액 = 총수입금액 – 필요경비(또는 근로소득공제 등)


2. 소득금액은 소득 종류별로 따로 계산된다! ✍️

세법상 과세되는 소득은 8가지로 구분되고, 각 소득별로 ‘소득금액’을 따로 계산합니다.

과세 소득 8가지:

  • ① 이자소득
  • ② 배당소득
  • ③ 사업소득 (개인 사업자)
  • ④ 근로소득 (직장인)
  • ⑤ 연금소득
  • ⑥ 기타소득 (강의료, 원고료 등)
  • ⑦ 퇴직소득
  • ⑧ 양도소득

예: 근로소득 소득금액 = 총급여 – 근로소득공제 사업소득 소득금액 = 총매출 – 필요경비


3. 소득금액 vs 과세표준 vs 총급여 차이 비교 🔍

구분 정의 세무 적용
총급여 회사에서 받은 연봉 총액 (비과세 포함) 근로소득공제를 위해 사용
소득금액 총급여 – 근로소득공제 (or 필요경비 차감) 각종 소득공제, 세액공제 전 기준
과세표준 소득금액 – 인적공제 등 각종 공제 실제 세율 적용되는 기준 금액

즉, 총급여 → 소득금액 → 과세표준 → 세액 산출 → 결정세액 이렇게 단계적으로 계산됩니다!


4. 소득금액 기준으로 뭘 결정하나요? 🧾

  • 📌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 여부 판단
  • 📌 건강보험료 산정 기준 (특히 지역가입자)
  • 📌 근로장려금/자녀장려금 등 지원금 수급 자격
  • 📌 국민연금 기준소득 상한선 결정

즉, 소득금액은 단순히 세금 계산용 숫자 그 이상이에요. 실생활의 수많은 혜택, 납부 부담과 연결되는 핵심 수치입니다.


정리하자면… ✍️

  • 소득금액 = 총수입 – 필요경비
  • 소득 종류별로 각각 따로 계산
  • 과세표준과 다르다! → 소득공제 전 단계
  • 종합소득세 신고, 건강보험료, 장려금 수급 등에도 영향

‘소득금액’이 뭔지 정확히 알면 세금계산도, 절세도, 재무계획도 훨씬 쉬워집니다 😊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