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그리고 Money

PER, PBR이 뭐길래? 주요 업종별 평균 수치로 보는 저평가 힌트!

by ootd_info 2025. 4. 24.
반응형

“이 종목 PER이 5배래. 진짜 싼 걸까?” “PBR 0.4면 저평가 맞는 거 아냐?”
PER, PBR은 주식 투자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저평가 판단 기준 지표예요. 하지만 이 숫자는 **‘업종마다 기준이 다르다’는 점**을 꼭 알아야 합니다!
오늘은 주요 업종별 평균 PER, PBR 수치와 함께 이걸 실전에서 어떻게 써먹는지까지 알려드릴게요 😊


1. PER, PBR이란? 간단 복습! 📊

PER (Price Earnings Ratio)

  • PER = 주가 ÷ 주당순이익(EPS)
  • 낮을수록 이익 대비 주가가 저렴하다는 의미

PBR (Price Book-value Ratio)

  • PBR = 주가 ÷ 주당순자산(BPS)
  • 1보다 낮으면 순자산보다 싸게 거래된다는 의미

하지만 이 숫자만 보고 “싸다!”라고 단정짓는 건 금물! 업종 평균과 비교해야 정확해요.


2. 주요 업종별 평균 PER, PBR 수치 (2024년 기준 참고값) 📈

업종평균 PER평균 PBR해석 포인트
반도체 / IT15~252.0~4.0성장 기대감으로 PER 높음
제약 / 바이오30~100+3.0~10+미래 실적 반영, 적자기업도 많음
은행 / 금융4~80.3~0.9자산 대비 저렴, 안정성 투자
건설 / 조선5~120.4~1.0경기민감주, 순환적 변동
에너지 / 정유5~100.7~1.2원자재 가격에 민감
소비재 / 유통10~181.0~3.0소득 탄력적 소비 트렌드 반영
통신 / 공기업8~120.8~1.5배당·현금흐름 중심 투자

* 수치는 시장 상황에 따라 변동되며, 연도·국가·지수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어요.


3. 실전에서 이렇게 써먹어요! 🧠

① “PER이 낮다 = 무조건 저평가다?” ❌

  • 은행주 PER 6 = ‘보통’ 수준
  • 바이오주 PER 20 = ‘매우 저평가’일 수도!

항상 업종 평균과 비교!

② “PBR 1 이하인데, ROE는 높다?” ✅

  • 기업가치가 저평가되어 있을 가능성 ↑

③ “PER은 낮은데 실적이 계속 줄고 있다면?” ⚠️

  • 미래 실적까지 고려해야 함 → 단순 숫자 함정 주의

4. 고수의 팁 ✅

  • PER 낮고 ROE 높다 = 가치투자자 관심
  • PBR 1 미만 + 흑자전환 기대 = 시장에서 저평가된 숨은 보석
  • PER 높지만 매출, 이익 성장률↑ = 성장주의 고평가일 수 있어도 ‘정당화’ 가능

정리하자면… ✍️

  • PER, PBR은 업종별로 다르게 해석해야 정확
  • 은행주 PER 7 ≠ 바이오 PER 7
  • 업종 평균과 비교하고, 성장성·실적 흐름도 함께 고려
  • ‘평균 PER보다 낮은데 실적 좋아질 기업’ 찾기 = 저평가주 접근 전략!

숫자는 숫자일 뿐, 그 의미는 비교에서 시작돼요. ‘싼 주식’보다 ‘가치보다 저렴한 주식’을 찾는 것이 핵심입니다 😊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