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무지식2

세법에서 말하는 ‘소득금액’이란? 헷갈리는 세금 개념 한 번에 정리! “연봉은 5천인데, 소득금액은 왜 다르게 나와요?” “과세표준이랑 뭐가 다른 거죠?”연말정산이나 종합소득세 신고를 하다 보면 ‘소득금액’이라는 단어가 꼭 나옵니다.하지만 총급여, 과세표준, 납부세액이랑 헷갈리는 개념이기도 하죠.오늘은 세법 기준으로 ‘소득금액’의 정확한 의미와 계산 방식, 그리고 다른 용어들과의 차이점까지 깔끔하게 정리해드릴게요 😊1. 소득금액이란? 💡‘소득금액’이란, 총수입금액에서 필요경비(또는 인정 공제)를 뺀 순소득입니다.즉, 실제로 세금이 매겨질 소득의 ‘기본 재료’라고 볼 수 있어요.✔ 공식:소득금액 = 총수입금액 – 필요경비(또는 근로소득공제 등)2. 소득금액은 소득 종류별로 따로 계산된다! ✍️세법상 과세되는 소득은 8가지로 구분되고, 각 소득별로 ‘소득금액’을 따로 계산.. 2025. 4. 24.
주택임대업과 상가임대업, 손익을 섞으면 안 되는 이유는? 세금계산 핵심 포인트! “주택은 적자고, 상가는 흑자인데… 둘을 합쳐서 세금 줄일 수 있지 않을까?”많은 임대사업자분들이 이렇게 생각하시는데요, 결론부터 말하면 안 됩니다! 바로 **‘손익 통산 불가’ 원칙** 때문이에요.오늘은 주택임대업과 상가임대업 손익 통산이 왜 안 되는지, 그리고 어떻게 세금이 달라지는지 정리해드릴게요.1. 손익 통산이란? 🔄손익 통산이란, 같은 소득 종류 안에서 손해와 이익을 서로 상계(통합)해 최종 과세소득을 계산하는 것을 말합니다.예:A 사업에서 1,000만 원 손해B 사업에서 1,500만 원 수익→ 손익 통산 시 과세 대상 소득은 500만 원그런데! **소득의 ‘종류’가 다르면 손익 통산이 불가능**해요.2. 주택임대업 vs 상가임대업 → 과세 구분 ✂️ 주택임대업: 소득세법상 '부동산임대소득.. 2025. 4.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