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그리고 Money

ROE와 EBITDA, 투자할 때 꼭 알아야 할 핵심 지표 두 가지

by ootd_info 2025. 4. 30.
728x90

📈 주식이나 기업 분석을 시작하면 "ROE가 몇 %래!" "EBITDA가 높대!" 이런 말을 자주 듣게 됩니다. 🤔
하지만 처음에는 "그게 뭐야?" 싶죠. 😵‍💫

오늘은 ROE와 EBITDA가 각각 무엇을 의미하는지, 그리고 투자할 때 왜 중요한지 쉽고 친근하게 정리해드릴게요! 🚀

ROE란? 🏦

ROE(Return on Equity)자기자본이익률을 의미합니다.

쉽게 말해, "주주가 투자한 돈으로 기업이 얼마나 효율적으로 이익을 냈는가"를 보여주는 지표에요.

공식은?

ROE = 순이익 ÷ 자기자본 × 100%

✔️ 예를 들어, 기업이 100억 원의 자기자본으로 10억 원의 순이익을 냈다면, ROE는 10%가 됩니다. 📊

ROE가 왜 중요할까? 💡

  • ROE가 높을수록 적은 자본으로 많은 이익을 내는 '효율 좋은 기업'이라는 뜻!
  • 장기적으로 ROE가 안정적으로 높은 기업은 경쟁력과 수익성이 우수할 가능성이 큽니다.

그래서 워런 버핏도 "ROE를 보면 그 회사의 진짜 실력을 알 수 있다"고 했죠! 🔥

EBITDA란? 🏭

EBITDA(Earnings Before Interest, Taxes, Depreciation, and Amortization)이자, 세금, 감가상각비를 빼기 전 이익을 뜻합니다.

조금 쉽게 풀어볼게요:
✔️ 기업이 벌어들인 돈 중에서 "진짜 영업활동으로 벌어들인 순수한 현금 흐름"을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

공식은?

EBITDA = 영업이익 + 감가상각비

감가상각비는 건물이나 설비처럼 시간이 지나면서 가치가 떨어지는 걸 회계 처리한 비용인데, 현금 유출이 없기 때문에 "진짜 돈 흐름"을 볼 때는 EBITDA를 더 참고합니다. 🔎

EBITDA가 왜 중요할까? 💡

  • 기업이 이자·세금 부담과 관계없이 얼마나 영업을 잘하고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 특히 부채가 많거나 투자 규모가 큰 산업(예: 통신, 에너지)에서는 EBITDA가 기업 평가에 중요해요.

투자자들은 EBITDA를 기반으로 기업의 가치 평가(Valuation)를 하기도 합니다! 📈

ROE와 EBITDA 한눈에 비교 📝

자기자본 대비 순이익률영업활동으로 벌어들인 현금 흐름
공식순이익 ÷ 자기자본 × 100%영업이익 + 감가상각비
중요성기업의 수익성과 경영 효율성 평가영업활동의 현금창출력 평가
활용 사례장기 투자, 우량주 분석기업 가치 평가, M&A 분석

🌟 최종 정리!

ROE는 기업의 '수익성'과 '경영 효율성'을,

EBITDA는 기업의 '현금창출력'을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둘 다 투자할 때 아주 중요한 참고 자료니까, 한 번 이해해두면 주식이나 기업 분석이 훨씬 재밌어질 거예요! 😎📚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