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그리고 Money

📈 공모주, 상장일에 팔까? 계속 들고 갈까?

by ootd_info 2025. 4. 20.
반응형




드디어 상장일! 공모주가 계좌에 들어온 순간, 누구나 고민합니다. “지금 팔면 얼마 벌까?” vs “더 들고 있으면 더 오를까?”

오늘은 상장일 매도 vs 보유 전략의 차이를 실제 사례 중심으로 정리해드릴게요!

---


✅ 상장일 매도 전략

상장 첫날에 바로 매도해서 수익을 실현하는 방식입니다.

  • 💸 수익을 확정 지을 수 있음
  • 📉 상장 직후 하락 리스크 회피 가능
  • 💡 경쟁률 높았던 인기주일수록 상장일 급등 확률 높음

예: 에코프로비엠, 카카오게임즈 → 상장일 시초가 대비 급등 사례

---

⚠️ 상장일 매도의 단점

  • 🚀 장기 우상향 종목일 경우, 큰 상승 구간 놓칠 수 있음
  • 🙈 급등 후 단기 조정 → 되팔기도 어렵고, 다시 사기도 어려움

---

📥 보유 전략

상장 후 일정 기간 주식을 계속 보유하면서 장기 수익을 노리는 방식입니다.

  • 📈 기업 펀더멘털이 탄탄할 경우 우상향 기대
  • 📊 상장일에 급락했을 경우 평균 단가 회복도 노릴 수 있음
  • 📦 배당주 성격의 공모주라면 장기 보유가 유리

---

📌 전략 선택의 기준은?

상황 매도 추천 보유 추천
경쟁률 1000:1 이상 초과 인기주 중간 이하 경쟁률
업종 테마, 단기 모멘텀 실적 기반 우량주
공모가 vs 시초가 시초가가 공모가 대비 2배 이상 공모가 근처 or 낮음
보유 목적 단타 or 청약 수익 실현 기업 장기 성장 기대

---

🔍 전략 결정 전 체크리스트

  • 📊 시초가 & 거래량 흐름 체크
  • 📉 기관 의무보유 물량 비중 확인 (의무보유 많을수록 물량 부담 적음)
  • 📆 락업 해제 일정 확인 (3개월, 6개월 등)

---

📝 마무리

공모주 상장일 매도냐, 보유냐는 “당첨이 끝이 아니라 시작”이라는 말 그대로,

투자자의 전략과 성향에 따라 다릅니다.

강한 단기 상승이 보이면 수익 실현, 기업을 믿는다면 기다림도 전략이 될 수 있어요.

“판단은 타이밍, 수익은 전략.” 당첨만큼 중요한 상장일 전략, 이제부터는 직접 세워보세요!

 

📌 관련 글 보기

 

 

728x90

댓글